분양가가 하루가 멀다하고 치솟으면서 합리적인 가격으로 10년간 거주할 수 있는 장기임대주택이 조명을 받고 있다.
8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에 따르면, 올해 2월 말 기준 전국 민간 아파트 3.3㎡당 분양가는 1901만7900원으로, 이는 전년동월 대비 7.4%(131만100원) 상승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서울은 16.92%(639만8700원) 올라 4420만6800원을 기록했다.
분양가상한제에 적용되는 기본형건축비도 상승했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지난 2월 간접공사비, 노무비 등 영향으로 기본형건축비(16~25층 이하, 전용 60~85㎡ 지상층 기준)가 직전 고시된 ㎡당 210만6000원에서 214만원으로 1.61% 상향 조정했다고 공시했다.
오는 6월부터 분양가는 또다시 치솟을 전망이다. 30가구 이상 민간 아파트에 제로에너지 건축물 5등급 인증이 의무화되기 때문이다. 제로에너지 인증이 시행되면 단열재, 고성능 창호, 태양광설비 등을 도입해 효율을 높여야 한다. 국토부는 제로에너지 인증 의무화에 따른 공사비 증가 폭을 전용 84㎡ 기준 가구당 약 130만원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업계에서는 최소 300만원 이상 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올해 7월부터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가 시행될 예정이다. 스트레스 DSR은 대출 심사 시 미래 금리 상승 가능성을 반영해 가산금리를 더하는 방식으로, 해당 제도가 시행되면 대출 한도가 줄어들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분양이나 주택 매매를 내 집 마련을 계획 중인 실수요자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대 10년간 이사 걱정 없이 거주하면서 내 집 마련을 준비할 수 있는 장기임대주택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장기임대주택은 임대료 상승이 제한적이어서 주변 시세 대비 저렴한 가격에 거주할 수 있다. 일반 주택과 달리 주택 수에 포함되지 않아 임대기간 동안 취득세, 재산세, 종부세 등의 세금 부담이 없고, 전세사기 위험에서도 피할 수 있다.
한 주택업계 관계자는 “주택을 구매할 여력이 부족하거나, 분양가 상승과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내 집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장기임대주택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이달 임차인 모집에 나서는 공공지원 민간임대 아파트가 있어 눈길을 끈다.
롯데건설은 서울 용산구 갈월동 일대 청년안심주택 ‘용산 남영역 롯데캐슬 헤리티지’의 임차인을 모집한다. 지하 4층~지상 24층, 1개 동 전용 23~49㎡ 총 269가구 중 52가구 중 공공임대(52가구)를 제외한 217가구가 민간임대물량이다. 지하철 1호선 남영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고 4호선 숙대입구역과 4·6호선 삼각지역도 가깝다. 롯데마트(서울역점)와 롯데아울렛(서울역점), 아이파크몰(용산점), 이마트(용산점), CGV 등 각종 생활편의시설도 지근거리에 있다.
금성백조도 대전시 유성구 관평동 일원에서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대전 관평 예미지 어반코어’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하 3층~지상 10층, 전용 81~84㎡ 오피스텔 504실 규모다. 사업지 인근에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대덕테크노밸리가 있다. 대전제4일반산업단지, 방현일반산업단지, 대덕원자력밸리, 평촌중소기업단지도 가까워 직주근접성이 좋은 편이다.